본문 바로가기

특허거절2

특허 거절 결정의 이유와 대응 방법 안녕하세요 기율특허법률사무소입니다. 특허를 출원 후 바로 등록까지 나아가는 것은 매우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허 출원 후 심사단계에서 최소 1번 이상의 의견제출통지서를 받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특히 특허사무소의 도움을 받지않고 혼자서 진행하시는 분들은 등록까지 한번에 받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더욱이 의견제출통지서나 거절결정서를 받았을 때에 어떻게 대응해야할 지 몰라 당황스러우실 수 있습니다. 특허거절결정서가 나오는 것은 매우 흔한일이지만, 이 때 적절하게 대응을 해서 거절사유를 치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혼자서 특허출원을 진행할 경우에는 명세서를 작성할 때에 많은 결함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출원을 시작하실 때부터 특허사무소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특허 거절의 이유와 타당성.. 2022. 6. 13.
특허거절이 되면? 특허거절 대응방법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기율특허법률사무소입니다. 오늘은 특허출원을 하다가 거절을 당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허거절결정이란 어떤 것을 의미할까요? 특허를 등록할 때 일정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 등록이 불가능해지며, 이를 특허거절결정이 되었다라고 합니다. 그럼 특허거절결정이 됐을 경우 대처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① 특허 거절의 이유를 확인합니다. ② 특허명세서에서 일부분을 보정합니다. ③ 인용문헌과 발명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를 강조하여 대응합니다. ④ 청구항을 보정해서 재심사 청구를 합니다. ⑤ 심사관과 면담하여 대응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의 블로그에 기재해두었으니, '특허거절 대처방법'에 대해 조금 더 알고싶으신 분은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 2021.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