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달청우수제품3

조달청 우수조달제품 선정되기 - NET, NEP 이전 포스팅에서, 조달청의 우수조달제품으로 선정되기 위해 NET와 NEP가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만일, 신청업체가 NET와 NEP 인증을 모두 가지고 있다면 어떨까요? 실제로 조달청의 신청업체 중에 이러한 요건을 갖춘 업체는 드물어서 NET와 NEP 인증이 모두 있다면 우수조달제품에 선정되는 것이 매우 유리해질 수 있습니다. 한가지 팁을 드리면 NET와 NEP를 동시에 신청하여 획득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NET는 향후 2년 내에 상용화가 가능한 신기술에 대해 인증을 해주는 것이고, NEP는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으로서 통상적으로 판매실적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NET는 제품화 전에, NEP는 제품화 후에 신청이 가능하기에 양자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 2019. 10. 28.
조달청 우수제품 선정 기준 기업을 운영하면서 조달청에 납품 업체로 선정되면, 기업이 한 단계 도약하여 성장할 수 있는 큰 계기가 됩니다. 그렇게 때문에 대다수의 기업은 조달청 납품을 희망하지만, 경쟁이 치열하고 요구되는 필요조건이 많아서 아예 엄두를 내지 못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조달청에 보다 쉽게 납품을 할 수 있는 방법을 포스팅 해 보겠습니다. 방법은 조달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우수조달물품 지정제도"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우수조달물품으로 지정 받으면, 다른 업체와 경쟁없이 수의계약의 형태로 조달청을 통해 납품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아래와 같은 인증을 획득한 업체는 신청이 가능합니다. □ 신청대상 대 상 : 아래 기술인증과 품질인증을 각각 1개 이상 획득한 중소·벤처기업 생산 제품 - 기술인증 : NEP, 신기술(NET, 전력.. 2019. 10. 26.
조달청 우수조달물품 제도 기업을 운영하면서, 조달청에 납품 업체로서 선정되면, 기업이 한 단계 도약하여 성장할 수 있는 큰 계기가 됩니다. 그렇기에 많은 기업들이 조달청 납품을 희망하지만, 경쟁이 치열하고 요구되는 필요조건들이 많아서 아예 엄두를 내지 못하는 기업들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특히 경쟁입찰 방식에서는 수익을 내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그런데 조달청에 보다 쉽게 납품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조달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우수조달물품 지정제도"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우수조달물품으로 지정을 받으면, 다른 업체와 경쟁없이 수의계약의 형태로 조달청을 통해 납품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우수조달물품의 공공기관 구매는 연 2조 규모에 달하고 있으므로, 중소기업이라면 판로 확대를 위해 적극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2019. 10. 4.